이번에는 변화구 던지는 방법을 알아볼건데, 변화구 구종은 너무 많기도 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변화구, 혹은 현대 야구에서 위력적이지 못해 사라진 변화구도 존재하는데, 모두 알아보는 것은 한계가 있어서 유명하고, 대중들이 좋아하는 변화구 위주로 알아보았다.
우선 오늘은 변화구의 기본이라고 불리는 슬라이더부터, 커브, 너클커브 그리고 아주 희귀한 구종 중 하나인 너클볼까지 알아볼 예정이다.
(오늘도 역시 설명은 우투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1. 슬라이더(Slider)
슬라이더는 아마 변화구 중에 가장 먼저 배우는 변화구일 것이다.
슬라이더를 제일 먼저 배우는 이유는 던지기 쉽다는 이유가 아마 가장 클 것인데, 슬라이더는 직구(포심)을 던지는 폼에서 손목을 아주 살짝 비틀어서 던지는 구종이다.
슬라이더는 변화구 구종 중 구속이 굉장히 빠른편에 속한다.
대부분의 선수들 120km/h~130km/h 를 웃도는 구속을 보여주고, 구속이 매우 빠른 투수들은 140km/h 의 구속을 보여주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립법은 검지와 중지를 모아 중지를 실밥에 걸어서 던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무게중심을 중간보다 살짝 바깥쪽으로 잡아서 공의 움직임에 변화를 준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더는 우타자 기준 몸 밖으로 흘러나가면서 살짝 떨어지는 듯한 궤적을 그리는 공이다.
슬라이더는 크게 종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슬라이더와 횡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슬라이더로 나뉘는데, 말 그대로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궤적이 큰 종슬라이더를 구사하는 선수도 있고, 요즘 유행하는 좌우 움직임이 극대화 된 횡슬라이더(스위퍼)를 구사하는 선수들도 존재한다.
슬라이더를 잘 구사하는 선수로는 스위퍼를 유행시킨 장본인 이라고 해도 무방한 오타니 쇼헤이, 노익장을 과시하는 커쇼, 깔끔한 투구폼을 가진 윤석민,KBO3대 마구라는 별명까지 얻은 신정락 등의 선수들이 존재한다.
(신정락 선수 본인은 커브볼이라고 주장한적도 있지만 대부분 슬라이더로 알고있습니다.)
2. 커브(Curve Ball)
커브는 수직 낙차를 극대화 시킨 구종이다. 모든 변화구 중 아래로 떨어지는 각이 제일 크고 변화구 중 제구가 쉬운편에 속한다. 하지만 단점도 있는데, 보통의 변화구는 홈플레이트 근처에서 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커브는 처음 던질때부터 포물선을 그리면서 날아간다. 그리고 브레이킹각이 큰 만큼 구속이 떨어진다. 이러한 경향과 공의 회전방향 때문에 타자가 정말 잘 맞춘다면 홈런을 맞을 가능성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진다.
커브는 일반적인 커브, 검지를 좀 뒤로잡거나 아예 구부려서 잡는 너클커브, 그리고 구속은 좀 빠르지만 휘는 각이 좀 작은 파워커브 정도로 구분이 가능하다.
파워커브랑 종슬라이더의 차이점은 파워커브는 좌우로 휘는 움직임을 완전 없다시피 수직으로만 떨어지는 구종이다.
커브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선수로는 무쇠팔로 불리기에 손색이 전혀 없었던 (故)최동원, 클레이튼 커쇼, 다르빗슈 유, 그리고 아리랑 커브를 구사하는 유희관과 같은 선수들이 존재한다.
-아리랑 커브는 유희관이 자주 던졌던 구속이 일반 커브보다 확연하게 느리지만 매우 큰 포물선을 그리는 커브이다.
3. 너크롤(Knuckle Ball)
위에 언급했던 너클커브에서 검지를 구부려 던진다고 했는데, 너클볼은 검지와 중지(많게는 약지까지) 모두 구부려서 던지는 구종이다. 말 그대로 손의 너클부분(관절)을 이용해 공을 잡는다. 그립법을 이렇게 쥐는 이유는 공의 회전을 거의 없다시피 던지기 위함이다.
너클볼은 공의 회전을 최소화시켜서 던지는데, 이때 와류현상(카르마현상)이 일어나 공의 움직임을 던지는 투수조차 예측할 수 없게 된다. 즉, 좋은 투수의 조건으로 불리는 '제구력'이 아무의미 없는 구종이다. 이러한 리스크에도 너클볼을 던지는 이유는 타자 또한 전혀 예측이 불가능 하다는 큰 메리트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너클볼은 잡는 포수도 매우 어렵기 때문에 너클볼을 전문적으로 잡는 포수를 따로 기용한 프로구단도 존재했다.
하지만 너클볼은 현대야구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구종은 아니다. 현대로 오면서 어떤식으로 던져야 좋은 공을 던지는지에 대한 과학적, 인체적인 이유가 생기면서 파이어볼러도 과거보다 더 많이 나오고, 구위와 제구력이 좋은 투수들도 대거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투수들 사이에서 구속도 느리고, 제구도 안되고, 너클볼을 마스터하기도 쉽지 않고, 포수도 잡기 힘들어 주자가 있을때 던지기 어려운 너클볼을 굳이 투수들이 위험을 감수해가며 던지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너클볼로 한시대를 풍미한 투수들도 존재하는데, 이 시대의 마지막 너클볼러 R.A 디키, 필니크로, 웨이크필드 그리고 KBO에서는 롯데에서 활약했었던 옥스프링이 너클볼을 종종 던지곤 했다.
'야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 감성 한스푼 들어간 KBO 2024 올스타전 리뷰 (0) | 2024.08.18 |
---|---|
변화구 던지는 방법 및 그립법 2(포크볼, 스플리터, 체인지업, 써클체인지업) (0) | 2024.05.09 |
속구 던지는 방법 (아마추어 시선으로 깔끔 정리!) (0) | 2024.04.24 |
각 구단의 원클럽맨 (2) | 2024.04.24 |
야구 투수의 투구폼에 관하여 (0) | 2024.04.23 |